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업무 효율을 높이는 필수 디지털 도구 모음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업무 도구들이 등장했습니다. 특히 원격 근무와 비대면 소통이 일상화되면서 협업 툴과 생산성 도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메신저, 협업 툴, 비용 환급, 메일 및 워크스페이스, 채용 및 HR, 전자서명, 블로그 및 이미지 플랫폼, 개발자 툴, 영업 관리 도구, 미팅 녹음 및 일정 관리 툴 등 업무에 꼭 필요한 다양한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1. 메신저

업무 효율을 위해서는 실시간 소통이 필수입니다. 대표적인 업무용 메신저로는 Slack과 JANDI(잔디)가 있습니다. Slack은 글로벌 팀 협업에 최적화된 플랫폼으로, 다양한 앱과의 연동이 강점입니다. 잔디는 직관적인 UI로 많은 기업에서 사용 중입니다. 또한 카카오워크Microsoft Teams는 그룹 채팅과 영상 회의 기능을 갖춰 팀 소통에 유용합니다.


2. 협업 툴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와 문서 관리를 위해서는 협업 툴이 필수입니다. Notion(노션)은 위키와 프로젝트 관리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올인원 워크스페이스입니다. Trello는 카드 형식으로 업무를 시각화하여 관리할 수 있어 간편하며, 티키타카는 주간 회의 기반으로 팀의 동기부여를 돕습니다. 또한 FLOW.team은 올인원 협업 도구로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비용 환급

기업 지출 관리는 간편하고 투명해야 합니다. 스팬딧(Spendit)과 gowid는 비용 관리 플랫폼으로, 법인카드 사용부터 경비 처리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합니다. ConcurExpensify도 영수증 관리와 비용 청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4. 메일 & 워크스페이스

업무용 메일과 계정 관리는 업무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Google Workspace네이버는 안정적이고 편리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며, Okta는 아이덴티티 관리 솔루션으로 계정 보안을 강화합니다. GoDaddy는 비즈니스 이메일 구축을 지원하여 전문성을 높입니다.


5. 채용 & HR

효과적인 인재 채용과 관리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원티드리멤버는 인재 채용을 위한 플랫폼으로 많이 사용되며, Greenhouse그리팅은 지원자 추적과 채용 프로세스 관리에 유용합니다. 또한 LinkedIn은 글로벌 인재 탐색에, flex는 조직 관리와 급여 처리를 지원합니다.


6. 전자서명

비대면 계약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전자서명 도구도 필수입니다. 모두싸인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자계약 서비스로, 서명부터 계약 관리까지 지원합니다. DocuSign 역시 글로벌 전자서명 솔루션으로 법적 효력이 보장됩니다.


7. 블로그 & 무료 이미지, 이모지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얻기 위해 블로그 플랫폼과 무료 이미지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Tistory, 네이버 블로그, 브런치스토리는 블로거들에게 인기 있으며, 이미지와 아이콘은 FlaticonPixabay에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8. 개발자 툴

개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문 툴이 필요합니다. Jira는 이슈 추적과 프로젝트 관리에 적합하며, Confluence는 문서화와 협업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고객 지원 시스템인 Zendesk도 고객 경험을 강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9. 영업 관리 도구

영업팀의 성과를 극대화하려면 CRM 솔루션이 필수입니다. Salesforce는 고객 관리와 매출 향상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으며, Relate는 영업 관리와 세일즈 협업을 지원합니다.


10. 미팅 녹음 툴

회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미팅 녹음 도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Grain, Otter.ai, 비토, 클로바는 음성 회의 녹음과 실시간 전사 기능을 제공하여 회의록 작성에 유용합니다.


11. 미팅 일정 관리

회의 일정을 조율하고 참석자와 공유하려면 일정 관리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Calendly되는시간은 일정 조율에 특화되어 있으며, 화상 회의를 위해서는 ZoomGoogle Meet이 유용합니다.


12. 기타 도구

업무 문서 관리는 PDF 변환이 중요합니다. Smallpdf는 PDF 변환과 압축을 간단하게 수행하며, Oddcast TTS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여행 스타트업 데이오프컴퍼니, 이대로 괜찮을까?

오늘은 여행 할인 쿠폰을 판매하는 스타트업, 데이오프컴퍼니 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 회사는 2022년 말에 설립되어, 여행 관련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을 보면, 몇 가지 우려되는 점들이 있습니다. 서비스 개요와 웹사이트 데이오프컴퍼니의 웹사이트( https://dayoff.co.kr/)는 여행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보입니다. 사이트 자체는 구매력을 높이기에는 다소 부족한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렴한 상품이 있다면 구매를 고려할 수 있겠지만,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집니다. 재무 상태와 인력 구성 회사의 자본금은 약 1억 원으로, 연 매출이 1억 원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2025년 기준 최저연봉이 2,520만 원임을 감안하면, 직원 8명의 연봉 총액은 약 2억 원에 달합니다. 이는 매출보다 높은 금액으로, 인건비만으로도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게다가 모든 직원이 최저연봉을 받는다고 가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 인건비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유치와 채용 활동 데이오프컴퍼니는 시드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투자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채용을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이며, 이는 회사의 재무 상태를 고려할 때 다소 의아한 부분입니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신규 인력을 채용하는 것은, 회사가 추가 투자를 받았거나 향후 수익 증가에 대한 확신이 있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분석 2023년은 데이오프컴퍼니의 실질적인 첫 영업 연도로, 매출액은 약 8,600만 원, 영업손실은 3억 2,000만 원, 순손실은 3억 3,0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사업 개발에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웹사이트 개발 외에 특별한 연구개발 활동이 보이지 않아, 주로 마진율이 낮은 상품 개발에 비용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산과 부채 상황 20...

스타트업 씬에서 조용히 대박 낸 엠피페이지(MPPage), 그리고 두나무 인수까지

오늘 소개할 회사는 엠피페이지(MPPage), 혹은 마피아컴퍼니입니다. 사실 이름만 들었을 땐 감이 안 올 수도 있지만, 음악 쪽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서비스 ‘마이뮤직시트(MyMusicSheet)’를 운영하는 그 회사입니다. 더 흥미로운 사실은, 이 회사가 최근 업계 거물 두나무에 인수되었다는 점 . 스타트업 씬에서 상당히 ‘핫’했던 뉴스였죠. 이 회사, 2015년에 설립돼 2025년에 인수되었으니 딱 10년 만에 성공적인 엑싯(M&A)을 해낸 셈입니다. 이 정도면 꽤 롱런한 스타트업이죠. 그런데 더 대단한 건, 전 직원이 8명밖에 안 되는 상태에서 연매출 26억 원을 만들어냈다 는 겁니다. 솔직히 이건 정말 극소수의 고효율 조직만이 가능한 성과입니다. 다양한 서비스 운영으로 파이프라인을 나눠 가진 회사 엠피페이지는 단일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 세 가지 서비스를 동시 운영 하면서 매출 파이프라인을 다양화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마이뮤직시트(MyMusicSheet) : 악보를 제작자(크리에이터)들이 직접 등록하고 판매하는 플랫폼입니다. 음악 업계의 ‘디지털 크리에이터 마켓’이라고 볼 수 있죠. AI 사운드 인식 악보 뷰어 앱 : 음악을 들려주면 자동으로 악보를 인식해주는 기능. 음악과 기술의 결합을 시도한 서비스입니다. 코코모(kokomu) : 일본 타깃의 플랫폼으로, 글로벌 시장을 노린 시도. 음악을 베이스로 하는 스타트업이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음원 스트리밍이나 콘서트 예매와는 결이 다릅니다. 콘텐츠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유통 플랫폼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SaaS와 콘텐츠 커머스의 중간 형태라고 보면 됩니다. 투자 히스토리: TIPS → 시리즈A → 두나무 엠피페이지는 총 3번의 주요 투자를 받았습니다. 초기 Angel 혹은 Seed 단계 에서 조민식 대표(업계에서 꽤 유명한 개인 투자자)에게 투자를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분은 본인이 투자한 회사들을 잘 엮는 스타일로, 일종의 투자...

여행 스타트업 '트립소다'를 파헤쳐봤다.

국내 여행 스타트업 중 하나인 트립소다(TRIPSODA)는 여행자들이 소통하고, 어드벤처 여행 상품을 함께 구매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커뮤니티 커머스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여행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여행 상품을 추천받으며, 커뮤니티 내에서 직접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본금 구조와 스톡옵션의 영향 트립소다의 자본금은 약 6,111만 2천 원으로, 일반적인 자본금 구조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설립 초기 자본금 외에 스톡옵션 행사로 인한 자본금 증가가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설립 시 5천만 원으로 시작하여, 2년 후 직원들이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자본금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소액의 자본금 증가가 나타난 것은 직원들에게 낮은 가격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 유치 현황과 전략 트립소다는 2024년 6월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에 선정되어 최대 7억 원의 지원금을 확보했습니다. 이후 8월에는 KAIST로부터, 12월에는 2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총 세 차례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 유치는 일정한 라운드 형성 없이 소규모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대표의 네트워크 한계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결과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주요 투자자를 중심으로 여러 투자자를 모아 한 번에 투자를 받는 방식이 선호되지만, 트립소다는 다양한 출처에서 분산된 투자를 받았습니다. SAFE 투자 방식의 도입 트립소다는 최근 SAFE(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투자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SAFE는 투자 시점에서 기업 가치를 평가하지 않고, 향후 투자 라운드에서 주식으로 전환되는 조건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스타트업에게 초기 자금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투자자와의 계약 조건에 따라 기업에 불리할 수 있는 요소도 존재합니다. 재무 상...